마지막 키워드도 영상으로 먼저 보고 오겠습니다. <br /> <br />SK가 AI 포럼, 박기완 기자가 다녀왔다고요? <br /> <br />분위기가 어땠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매년 열리던 행사지만 올해부터 글로벌 공개 행사로 거듭난 만큼 규모 면에서부터 차이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SK는 물론,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, 오픈AI와 엔비디아, 람다 등 <br /> <br />내로라하는 AI 시대 선두주자들이 한 데 모여 미래 기술을 선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AI 시대를 맞이한 'HBM 강자' SK 그룹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대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MS와 엔비디아, TSMC의 수장이 영상에 등장해 SK를 향한 애정을 드러내자, 청중도 술렁였습니다. <br /> <br />최 회장은 특히 세 명의 CEO들과의 일화를 직접 소개했는데요. <br /> <br />하이닉스 인수 당시부터 TSMC 창립자가 따듯하게 자신을 맞아줬다며 TSMC에 대한 호감을 표했고요. <br /> <br />엔비디아에 대해선 젠슨 황이 6세대 HBM 양산을 당겨달라고 요청했다는 등 불평하는 것처럼 보였지만, 그만큼 끈끈한 관계임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MS 사티아 CEO와의 대화를 통해 탄소발자국 감축 노력을 하게 됐다며, <br /> <br />MS가 원전을 데이터센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것이라는 계획도 먼저 들을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SK에 대한 애정만큼, 이들 기업의 요구 사항도 적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사티아 CEO가 영상을 통해 SK부터 AI를 더 적용하라고 재촉하는가 하면, <br /> <br />젠슨 황 역시 더 뛰어난 기술의 HBM을 요구해 최 회장의 어깨가 무거워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젠슨 황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젠슨 황 / 엔비디아 CEO : HBM 메모리의 기술 개발과 제품 출시 속도는 매우 훌륭합니다. 하지만 솔직히 더 많이 필요합니다. 지금보다 더 많은 메모리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고, 동시에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많은 대역폭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.] <br /> <br /> <br />SK의 역할도 그만큼 커진 건데, 최 회장도 AI 시대에 대한 고민을 털어놨다고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 회장은 수익모델 부재와 전력 수급 등 인공지능 시대를 맞는 기업인으로서의 어려움을 조목조목 짚었습니다. <br /> <br />막대한 양의 전력이 필요한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원전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등, <br /> <br />국내 기업인으로서는 말하기 어려운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도 고민을 털어놨는데요. <br /> <br />또,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가 수익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면, 일부 분야에 특화한 AI를 개발하겠다며 '플랜 B' 계획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0517205950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